닫기
닫기

한국중세사학회 관리자 메뉴

원고작성법

home학술지자료실원고작성법

Ⅰ. 투고 방법 및 원고 분량

  • 1. 학회지에 논문 투고를 희망하는 연구자는 원고작성 지침에 맞춰 작성된 원고를 투고할 수 있다.
  • 2. 한국중세사학회 JAMS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https://corehistory.jams.or.kr)에 접속(미가입자는 가입한 후)하여 절차에 따라 논문 파일을
        탑재한다.
  • 3. 논문 투고자는 투고 논문의 접수 여부를 직접 확인하여야 하며, 투고된 논문은 반환하지 아니한다.
  • 4. 투고된 논문의 수가 많을 경우 투고 순서에 따라 게재를 결정한다. 이 경우 늦게 투고한 논문은 다음 차수의 학회지에 게재한다.
  • 5. 투고 자격은 우리 학회 회원으로 제한한다. 비회원인 경우 회원 가입 후 투고할 수 있다.
  • 6. 투고논문의 경우 필자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저자의 성명과 소속을 삭제한 후 제출한다.
  • 7. 투고하는 논문은 연구윤리규정을 반드시 준수한 결과물이어야 한다.
  • 8. 논문을 투고할 때는 KCI문헌유사도검사를 실시하고 결과 파일을 함께 제출한다. 유사도가 높은 논문의 경우 편집위원회는 심의를 거쳐 투고논문을
        반려할 수 있다. 단, 학위논문을 수정하여 제출하는 경우는 예외로 하되, 학위논문을 수정․제출한 사실을 투고 시에 알려야 한다.
  • 9. 본 학회지 투고 게재한 후 1년 이내에는 논문을 다시 투고할 수 없다.(기획논문, 비평논문, 서평은 제외한다.)
  • 10. 원고분량은 200자 원고지 기준 150매(학술지 30면) 이내, 서평의 경우 50매 내외를 기준으로 한다. (※ 투고시 200자 원고지 3매 이내의 국문초록과
          5단어 내외의 주제어, 180단어 내외의 영문초록과 5단어 내외 Key words, 참고문헌 수록)
  • 11. 논문 게재가 확정될 경우 게재료를 납부해야 한다. 논문의 분량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게재료가 부과된다(31~40면은 1면당 1만원, 41면
          이상은 1면당 2만원).
  • 12. 게재가 확정된 후에는 학회 양식의 저작권 이양동의서를 작성 제출토록 한다. 논문의 게재와 함께 논문저작권은 학회에 있게 되지만, 필자의 사용권은
          인정한다.

Ⅱ. 원고 작성 지침

  • 1. 원고는 한글문서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한자나 외국어 표기를 해야 할 경우 첫 번째에 한하여 한글(한자 또는 외국어)로 병기하고, 두 번째부터는 한글로만 표기한다.
        2) 외래어 발음 표기는 국립국어원이 제정한 규정을 따른다.
            예) 장르, 비전, 리더십
        3) 모든 인용문(한문 포함)은 논리전개 상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번역하여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한 경우 관련 원문을 각주에
            인용한다.
        4) 본문 속에 지문과 줄을 바꾸지 않고 잇달아 이어지는 인용문은 겹따옴표 (“ ”)로 묶는다. 내용 주 속의 인용문도 겹따옴표로 묶는다.
        5) 겹따옴표로 묶인 인용문 안의 인용문은 홀따옴표(‘ ’)로 묶는다.
        6) 본문 속에서 지문과 구분되는 긴 인용문의 경우 지문과 앞 뒤로 각각 한 줄 씩을 띄우고, 왼쪽의 여백을 본문보다 한 칸 더 들여쓰기한다.
        7) 모든 종류의 인용문은 그 출처를 밝히고 쪽수까지 제시해야 한다. 재인용의 경우 원전과 인용서를 최대한 자세하게 밝혀야 한다.
        8) 한문이나 고어 등은 한글로 풀어서 서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해를 구하기 위해 한문이나 고어를 대괄호[ ] 안에 추가로 표기할 수 있다.
  • 2. 각주의 경우에는 원문을 한자나 외국어로 표기할 수 있다.
  • 3. 학위논문이나 학술대회 등에서 이미 발표한 원고를 게재하는 경우 이 사실을 1쪽의 논문제목 뒤에 *표시한 후 각주 란에 표기하여야 한다.
  • 4. 심사를 통해 게재가 확정된 원고에는 투고자 이름 끝에 각주 처리하여 투고자의 소속 및 직위를 명확히 제시한다.
  • 5. 논문 본문 및 각주에서 인용하는 저자 이름 뒤 존칭은 일체 생략한다.
  • 6. 원고는 ᄒᆞᆫ글 2010 이상으로 작성토록 한다.

Ⅲ. 논문 체제

  • 1. 구성과 목차
        1) 논문의 구성과 순서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갖춰야 한다.
            ① 제목-필자 이름(한글․한자 병기, 소속, 직위 표기)-목차-본문-주제어-참고문헌-영문초록과 키워드(※국문 초록은 원고투고 시 반드시 별도 제출)
            ② 목차는 로마자 표기를 원칙으로 하고, 세부 목차는 아라비아 숫자로 한다.
                 예) Ⅰ. 머리말
                       Ⅱ. 권무관의 개념
                       Ⅲ. 권무관의 종류와 구분
                             1. 품관권무와 유록권무
                             2. 잡권무
                       Ⅳ. 맺음말
  • 2. 표와 지도, 그림
            ① 표 : 표의 위치는 표의 상단에 가운데 정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표기방식은 다음과 같다.
                 예)〈표 1〉 광복 이후 북한 역사학의 흐름(단위 : 년)
            ② 그림 및 지도 : 그림이나 지도의 위치는 해당 그림의 아래에 가운데 정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표기방식은 다음과 같다.
                 예) [그림 1] 선화요묘 장세경묘 후실벽화 부분(하북성문물연구소 발굴)
  • 3. 각주
        1) 인용문 전거는 각주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힌다.
            ① 논문 : 허인욱, 「유목사회의 특성과 고려-거란 전쟁」『한국중세사연구』60, 2020, 71쪽.
            ② 저서 : 박종진,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 서울대출판부, 2017. 단, 출판지역이 국내일 경우 생략 가능하며, 외국인 경우 출판연도 앞에 ( )로
                 표기한다.
                 예) 宮嶋博史,『朝鮮史入門』, 日本書店(東京), 2020.
                            F. Gethmann, Die Frage nach der Kunst(Freiburg), 1995, pp.11-12.
        2) 편서의 경우에는 편자 이름 뒤에 (편), 영어권 편서의 경우 ‘ed.(복수의 편자인 경우 eds.)’를 쓴다.
                 예) 한국중세사학회(편), 『동아시아 중세의 기원』, 중세문고사, 2000.
                       Kristina Köper(ed.), Studio Olafur Eliasson, (London), 2016, p.212.
        3) 번역서의 경우 원저자 이름을 표기한 뒤 역자 이름 뒤에 (역)을 쓴다.
                 예) 클라우제비츠, 이종학(역), 『전쟁론』, 일조각, 1987, 27쪽.
        4) 출판연도는 논문의 경우 학술지명 호수 뒤에 표기하며, 저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저서가 초판이 아닌 경우 연도 다음에 ‘판’자를 더하거나
            ‘개정판’임을 나타낸다. 출판연도가 2년 이상의 경우는 연도 사이에 가운데 점 ( ․ )을 쓴다.
        5) 인용 자료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① 한문 원전의 권수 등의 표기 : 『高麗史』 卷4, 顯宗 元年 10月 丙午, “원문”
            ② 권수, 호수, 집수, 통권수 등의 표기 : 7집, 7호, 통권 7호 등은 ‘7’로 표기하며, 7권 1호는 7-1로 표기한다.
        6) 반복 인용의 표기
            ① 앞에서 인용한 문헌 및 논문의 경우 바로 위의 것은 ‘위의 책’, ‘위의 논문’으로, 더 앞에서 인용한 것은 저자명과 연도를 표시한 뒤 ‘앞의 책’,
                ‘앞의 논문’ 등으로 나타낸다.
            ② 영어권 논저의 경우는 ‘ibid.’ 또는 ‘op.’, ‘cit.’ 등을 쓴다.
        7) 논문이나 저수 등을 열거할 경우 세미콜론(;)으로 연결한다.
        8) 각주의 끝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9) 각주 안에서의 인용문 표기는(『책명』, 쪽수, “....”)로 한다.
                 예) 한국중은 한국사 전반의 이해가 진전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한국중, 『한국중세사연구』60, 0~00쪽.)
        10) 전자자료 ;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http://gsm.nricp.go.kr), 2020년 3월 18일.
  • 4. 게재 확정된 논문에서의 주제어․참고문헌․초록
        1) 논문 맺음말 뒤에 주제어 5개 내외를 한글(한자) 병기로 쓴다.
        2) 주제어 뒤에 참고문헌 목록을 제시한다. 참고문헌 표기는 “저자명, 논문명, 책명 또는 학술지명, 출판사명(출판지역), 출판연도” 순으로 한다.
            참고문헌은 원전, 저․역서, 논문, 기타 순으로 작성한다.
        3) 참고문헌 다음에는 180 단어 내외의 영문 초록을 싣는다.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은 국립국어원 제정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규정을 따르도록 한다.
        4) 영문 초록 밑에는 영문 주제어(Key words) 5개 내외를 쓴다.
        5) 참고문헌과 영문 초록 등은 전체 원고 분량에 포함된다.
  • 5. 원고 이력과 사사표기, 필자 이름
        1) 원고 이력(발표 및 발표문의 수정 보완, 기금 지원 등)을 표기해야 하는 경우 제목 옆에 ‘*’를 사용해 우선 제시한다.
        2) 필자이름과 관련하여는 제목 밑에 한글(한자)이름을 쓰도록 하며 ‘*’방식으로 소속과 지위를 밝힌다. 이는 영문초록 시 영어로도 소속과 지위를
            ‘*’ 방식으로 나타낸다.
        3) 필자가 2인 이상이면 왼쪽부터 제1저자․제2저자 순서로 제시한다.
        ※ 원고작성 지침에 없는 경우 출판완료 된 『한국중세사연구』의 원고작성을 따른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