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 일연선사와 삼국유사
일시 : 2006년 7월 20일(목) 9:30 ~ 21일(금) 16:30
장소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강당( 1층 강의실 )
주최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연학연구원
- 주요 일정 -
◇ 1일째 : 7월 20일(목)
09:30 등록
사회: 주보돈(경북대)
10:00 개회사 : 일연학연구원 이사장
축 사 : 한국학중앙연구원장
Ⅰ. 기조강연
10:30-11:10
조동일(계명대): 삼국유사 기본 특징 비교 고찰
11:20-12:00
김상현(동국대): 삼국유사 연구 현황
12:00-13:00 점 심
Ⅱ. 주제발표
제1부
사회: 박찬흥(고려대)
13:00-13:30
삼국유사 소재 인도관련기사의 이해
발표: 반카즈(인도)
토론: 조경철(한국학중앙연구원)
13:30-14:00
삼국유사에 보이는 貧民에 대하여
발표:하일식(연세대)
토론: 전덕재(경주대)
14:00-14:30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본관
발표: 기무라 마꼬또(동경 수도대학)
토론: 연민수(동북아 연구재단)
14:30-15:00
신라 三寶와 만파식적
발표: 신종원(한국학중앙연구원)
토론: 김복순(동국대)
휴식(20분)
제2부
15:20-15:50
삼국유사에 보이는 나당관계의 새로운 검토
발표: 배근홍(중국 섬서사범대)
토론: 곽승훈(목원대)
15:50-16:20
삼국유사의 사서로서의 특징
발표: 남동신(덕성여대)
토론: 조인성(경희대)
16:20-16:50
신라불교사상사의 전개와 삼국유사 의해편
발표: 정병삼(숙명여대)
토론: 김영미(이화여대)
16:50-17:20
일연의 고대 북방 민족관
발표: 하마다 코오사쿠(일본 구꾸대학)
토론: 김현숙(고구려연구재단)
17:20-17:50
고려후기 일연주관 인각사 구산문도회의 성격
발표: 한기문(상주대)
토론: 김광식(부천대)
만찬 (18:10)
◇ 2일째 : 7월 21일(금) 일정
제3부 사회: 남무희(국민대)
09:00-09:30
삼국유사 기술문의 시화적 성격
발표:김선기(충남대)
김기영(나사렛대)
09:30-10:00
삼국유사의 사료적 가치에 대한 고찰
발표: 맥브라이더(미국 워싱턴대)
토론: 노중국(계명대)
휴식(20분)
10:20 - 10:50
삼국유사 소전 단군왕검의 문화론적 연구
발표: 정호완(대구대)
토론: 김진규(공주대)
10:50 - 11:20
삼국유사 소재 설화의 민중성 연구
발표: 이강옥(영남대)
토론: 고운기(연세대)
11:20 - 11:50
삼국유사의 한문학적 고찰
발표: 이동근(대구대)
토론: 이경수(강원대)
점 심 11: 50 - 13:00
13:00 -13:30
신라건국신화의 맥락적 해석과 신라 문화의 재인식
발표: 임재해(안동대)
토론: 박선희(상명대)
13:30 -14:00
삼국유사 소재 건국신화로 보는 일한비교
발표: 아오키 슈헤이(일본 국학원대학)
토론: 나경수(전남대)
Ⅲ. 종합토론 14:30-16:30
사회 이기동
발표자 및 토론자 전원
|